Surprise Me!

[더깊은뉴스]함성 사라진 평창…보존 vs 복원 ‘옥신각신’

2018-08-13 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평창겨울올림픽의 감동 여전히 많은 분들의 기억속에 남아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성화가 꺼진 평창은 보존과 복원사이에서 길을 잃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혜정 기자의 더깊은뉴스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해발 천3백 미터 산봉우리까지 이어진 자갈밭. 맹수의 발톱에 할퀸 듯 흉물스러워 보입니다. <br> <br>반년 전 전세계인이 환호하던 동계올림픽 알파인스키장의 자태는 고사하고, 흙이 벗겨져 나간 슬로프엔 풀 한포기 자라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 준 / 산림기술사] <br>"제가 볼 때 (산림) 복원은 힘들 것 같아요. 계속 비 맞으면 무너질 것이고 그래서 영구적인 시설은 아니란거죠." <br> <br>토사가 흘러내린 절벽은 금새라도 산사태가 날듯 위태로워 보입니다. <br> <br>[이 준 / 산림기술사] <br>"위험하다는 이야기는 전문가가 아니라 초등학생들도 와서 보면 다 위험하다고 그래요." <br><br>축구장 66개 규모의 대형 스키장은 올림픽 시설보존이냐 생태계 복원이냐 라는 갈등 속에 갈길을 잃었습니다.<br> <br>[강원도청 관계자] <br>"곤돌라 하나만 존치시켜 달라는 이야기예요, 지금. 이건 철거하는 순간 다 고물이예요." <br><br>경기장 철거에 690억 원이 드는데다, 7만 톤 규모의 폐기물이 2차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웁니다.<br> <br>체육단체까지 가세해 시설유지를 요구하고 나섰지만 산림청은 전면복원 방침을 고수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산림청 관계자] <br>"일종의 대부계약서를 맺은 것이죠. 저희는 답답한 게 그럼 처음부터 그렇게 약속을 하고 빌려가셔야 하는데 처음에는 다 복원한다고 호언장담하시고…" <br><br>대회 기간 내내 큰 사랑을 받았던 올림픽 플라자가 있었던 자리. 개폐회식장은 사라지고 성화대만 덩그러니 남았습니다. <br> <br>[대관령면 주민] <br>"(주민들이) 존치를 하자 그랬어요. 안된대요. 설계를 허무는 것으로 다 설계했기 때문에." <br> <br>영화 세트장이 철거되듯 그날의 흔적이 대부분 사라지면서 올림픽의 감동을 다시 느끼려는 사람들은 허탈해 합니다. <br> <br>[대관령면관광안내소 직원] <br>"(관광객들이) 어디가면 이걸 볼 수 있느냐고 하는데 '문 닫아서 때려 부수고 있습니다' 하니까 여기 와서 아무것도 못보는 거예요." <br><br>강원도는 서울광장 18배 크기의 공간에 올림픽 기념관과 대형광장을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습니다.<br> <br>하지만 120억 원에 이르는 예산이 없어 첫 삽도 뜨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[강원도청 관계자] <br>"그것도 지금 국비를 못주겠다는 거예요. 기획재정부는 강원도를 철저하게 사업자로 인식하는 거예요." <br><br>평창 올림픽이 치러진 경기장은 모두 열두 곳. 정선 알파인 경기장과 강릉의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, 하키 센터는 관리 주체도 못정했습니다.<br> <br>수천억 원의 예산으로 만든 시설인데 관리 비용을 핑계로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> <br>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성사 속 사상 최대 규모의 동계올림픽으로 숱한 화제를 모았던 평창 올림픽. <br><br>하지만 올림픽이 끝나자 마자 한 때 특수를 노렸던 평창군 관광객 수는 반토막이 된 지 오래입니다.<br> <br>[윤강로 /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] <br>"(1980년) 레이크플래시드가 레거시(유산)를 생각해서 올림픽이 끝나면 관광지로 개발하겠다는 확고한 개념을 가지고 시작했거든요. 시설 활용이 100% 잘 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올림픽 기간동안 사람들을 실어 날랐던 강릉역 셔틀버스 승강장도 불법주차 차량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 <br> <br>[강릉역관광안내소 직원] <br>"(단속을 해야할 것 같은데) 가서 항의 좀 해주세요. 맨날 (항의) 하는데도… " <br> <br>한 자동차 업체의 후원 차량 수백 대도 새 주인을 찾지 못해 주차장만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윤강로 /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] <br>"쏟아부었던 돈에 비하면 가치가 천 배 넘을 겁니다. 이것은 IOC와 국제연맹들과 합의해서 올림픽 전지 공식 훈련장화 해서 (이용 해야죠.)" <br> <br>[전혜정 기자] <br>"우리는 지난 평창 동계올림픽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해왔습니다. 축제가 끝난지 반 년 시간이 흐른 지금, 폐허처럼 남겨진 올림픽의 유산들은 성공만을 기억해선 안된다고 상기시켜주고 있습니다. 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" <br> <br>전혜정 기자 hye@donga.com <br> <br>연출 : 이민경 <br>구성 : 지한결 이소연 <br>그래픽 : 전유근

Buy Now on CodeCanyon